Skip to main content
Economic Impact StudyGlobal MICE InsightStatistics

세계 MICE산업의 경제효과 및 국가경제기여도 ①

By 2016/05/112월 2nd, 2018No Comments
로그인을 해주세요.

1

세계 주요국 MICE산업의 경제효과 및 국가경제기여도 ①

MICE행사 참가자들은 개최지에 방문하여 관광, 쇼핑, 숙박, 교통, 식음료, 문화 활동 등의 다양한 소비행위를 함으로써 지역 및 주 변 산업에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유발한다. 정부는 MICE산업을 국민경제 성장 및 소득·고용 창출에 파급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서 비스 산업’으로 인식하여 2009년 17대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하였으며, 정부의 국정과제인  ‘고부가가치 융·복합 관광산 업 발전’의 핵심과제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MICE산업의 현황과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통계 및 경제적 파급효과의 산출이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 다. 이미 UNWTO 권고안을 적용하여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선진국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MICE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 하고, 이를 거시경제 지표로 도출하여 국가경제기여도를 평가하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세계 주요 국가에서 발표한 MICE산업의 경제적 효과와 국가경제기여도 분석결과를 살펴보았다.

1. 세계 MICE산업의 경제효과 분석현황과 동향

UNWTO(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는 회의산업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경제활동으로 새롭게 성장하고 있 음에 주목하여, 2006년에 MICE산업의 경제적 가치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하는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국제콩그레 스컨벤션협회(ICCA), 국제회의전문가협회(MPI) 등의 국제기구 및 리드트래블엑시비션스(Reed Travel Exhibitions)가 협력하 여 MICE산업의 경제적 활동을 측정하는 표준방법론을 구축하였다. UNWTO의 권고안을 토대로, 북미와 유럽의 국가를 중심으 로 관련된 연구를 실행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져왔다. 2008년에 캐나다 MPI 재단은 『캐나다 MICE산업의 경제기여도 분석』 보고 서를 발간하였으며, 2011년에는 미국 컨벤션산업위원회(CIC)가 『미국 회의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들은 국제적으로 호환 가능하고 타 산업과 비교가 가능한 MICE산업의 통계구축을 위해 용어정의 및 분류체계를 정립하고, 이에 따른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표하였다. 나아가 MICE산업의 규모와 경제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모델을 개발하고, 거시 경제의 지표로 도출하여 국가경제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2

각 국가의 MICE산업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의 주요 동향을 살펴하기 위해, UNWTO의 권고안을 수용하여 범국가적 차원의 MICE산업 통계 및 경제효과 분석결과를 발표한 미국, 캐나다, 멕시코, 영국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여기에 최근 『호주 비즈니스이벤트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를 발표한 호주의 사례를 추가하였다. 국가별로 동일한 MICE산업 지표를 비교하기 위해 분석항목을 MICE행사 개최현황(개최건수, 참가자수), 직접지출효과, GDP기여효과, 고용유발효과로 구성하였다.

3

MICE산업 경제효과 분석방법론
보다 신뢰성 있는 MICE산업의 경제효과 분석을 위해, UNWTO와 협력기관들이 권고하고 있는 관광위성계정(Tourism Satellite Account, 이하 TSA)과 연계된 방법론은 MICE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접근법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UNWTO가 MICE산업 통계조사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내용은 MICE산업의 규모와 국가경제기여도를 타 산업 과 비교하고, 국가 간 비교를 통해 파악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타 산업 및 국가 간 MICE산업 통계가 상호 비교 및 호환 가 능한 지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가장 효율적인 분석방법은 MICE산업과의 연계성이 가장 높은 관광(Tourism) 분야의 계정을 차용하는 것이며, 보 다 구체적으로 UNWTO는 TSA와 간접(indirect)·유발(induced) 경제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예: 연산가능일반균형모델/ 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UNWTO는 경제활동 측면에서 MICE산업의 수요와 공급 특성의 흐름을 [그림 1]과 같이 구조화하였으며, MICE산업의 기본적인 구조를 핵심산업군(core meeting industry) 과 확장산업군(extended industry)으로 구분하고, 이에 해당하는 산업분야를 [표 3]과 같이 정리하였다. 이로써 MICE산업의 독 자적인 경제적 활동(예: 주최·기획업, 시설임대업 등) 뿐만 아니라, 숙박산업과 관련한 MICE산업의 경제적 활동, 식음료산업과 관련한 MICE산업의 경제적 활동 등 연관 산업과의 경제적 가치 측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MICE산업의 직간접적 경제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4

5

경제적 파급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UNWTO권고안에 따르면 직접효과(direct impact)는 TSA를 통해 여러 유형(숙박, 접객 서비스, 교통 등)으로 산재해 있는 관광 특화 및 관련 상품의 공급활동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파악 하고, 이를 국내외 참가자(비즈니스 여행자)의 수요활동과 연계하여 분석해야 하는데, 이는 국가통계시스템(SNA)과 연계하여 MICE 참가자(비즈니스 여행자) 활동의 경제적 범주와 규모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MICE는 관광산 업의 하위산업이 아니고, 독자적인 산업 활동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예를 들면, 회의 기획활동), TSA만으로는 모든 MICE산업 활동을 측정할 수가 없다. 이를 위해 영국에서는 회의산업계정(Meeting Satellite Account, MSA)를 개발하여 TSA가 포괄하지 못하는 MICE 특화활동 계정을 만들고 이와 관련한 경제활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경제효과 분석에 반영하였다.
공급사슬과 유발효과 등을 포함하는 간접효과(indirect impact)는 투입산출(Input-Output) 모델과 연산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1)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연구를 수행한 바 있는 캐나다(Maritz Research Canada/The Conference Board of Canada, 2008), 미국(PwC 2011a), 멕시코(PwC 2011b), 덴마크(VisitDenmark 2012) 등 은 IO모델을 통해 MICE산업의 경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국(MPI 2013)은 IO모델과 CGE모형을 통해 경제효과를 분석 하고 산출하였다. 이 같은 MICE산업의 경제효과 분석연구 결과가 갖는 가장 큰 의의는 타 산업 분야의 경제효과 분석방법론이 나 조사시스템, 측정지표(GDP기여도, 고용효과, 세수효과 등)와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는 점이다(타 산업과의 데이 터 호환성). 그리고 국제적으로 권고 되고 있는 표준화된 방법론을 차용하여 경제효과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국가 간 MICE산업 통계 및 경제효과 분석결과를 상호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는 데에 있다(타 국가와의 데이터 호환성).

7

2. 세계 주요국 MICE산업의 경제효과 및 국가경제기여도
1) 미국 MICE산업의 경제효과 및 국가경제기여도

8

미국은 컨벤션산업위원회(CI)의 주관 하에 2011년과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미국 MICE산업의 국가경제기여도(The Economic Significance of Meetings to the US Economy)』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UNWTO의 권고안을 수용하 여 작성하였는데, 여기에 자국의 경제효과 분석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산업분류시스템인 북미산업분류체계(NAICS)에 포함된 MICE 핵심 산업군 관련 코드 2개와 그 외 관광산업 관련 활동(교통, 숙박, 식·음료 등)이 복합적으로 연관된 TSA를 활용한 분 석방법이 채택되었다. MICE산업을 구성하는 핵심 산업군 중 전문회의기획업과 컨벤션/콩그레스/전시시설업은 비관광 산업군으 로 국가산업계정(NAICS Code)을 통해 경제 활동을 측정하였고, 인센티브기획업과 현지서비스제공업(DMC) 및 컨벤션뷰로 관 련 활동은 미국 여행관광위성계정(Travel & Tourism Satellite Account, TTSA)을 통해 측정하였다. 확장 산업군에 포함되는 숙박, 교통, 식음료 등의 활동에 대해서도 여행관광위성계정(TTSA)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산출된 2012년 기준 미 국의 MICE산업 경제효과 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미국에서는 2012년 기준 총 183만 건의 MICE행사가 개최되었으며, 총 참가자수는 2억 2,495만 명, MICE행사 개최로 인한 직 접지출효과는 2,804억 달러(한화 315조 8,039억원)로 나타났다. 2012년 미국 MICE산업의 직접 GDP기여효과는 1,156억 달 러(한화 130조 2,114억원), 간접 GDP기여효과는 2,782억 달러(한화 313조 2,878억원)였으며, 이를 합산한 총 GDP기여효과는 3,938억 달러(한화 443조 4,992원)로 나타났다. 본 지 편집진이 미국 MICE산업의 총 GDP기여효과를 미국의 총 GDP로 나누 어 산출한 미국 MICE산업의 GDP기여도는 2.42%였다. 한편, MICE행사 개최로 인해 창출된 고용유발효과는 직접고용효과가 179만 명, 간접고용효과가 208만 명 등 총 501만 명으로 나타났다.

9

2) 영국 MICE산업의 경제효과 및 국가경제기여도

10

영국은 2012년 MPI 재단의 주관 하에 『영국 MICE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The Economic Impact of the UK Meeting & Event Industry)』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TSA를 활용하여 관광 관련 활동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 MICE산업의 특수한 활동 즉, 비관광 관련 활동의 경제적 가치는 영국 여행정보부(UK Tourism Intelligence Unit)와 국가통계 사무소(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ONS)의 협조를 통해 개발한 영국 MICE-관광위성계정(Meeting TSA, 이하 MTSA)을 활용하였다.
MTSA는 ‘관광-MICE 연계활동’ 및 ‘비관광-MICE활동’으로 새롭게 구분하여 MICE산업을 위한 분석에 적합하도록 재정비하 고, 이에 더하여, ‘관광-MICE 연계활동’을 다시 ‘기업회의’, ‘컨벤션’, ‘인센티브’, ‘전시회’로 세분화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도록 구성하였다. MTSA를 통해 영국 MICE산업의 총 생산량과 직접부가가치(Direct Growth Value Added, GVA)2)를 측정하고, 이 수치를 토대로 정규직 또는 정규직에 준하는 일자리 창출효과를 측정하였다. 간접효과와 유발효과를 포함한 총 경제효과 분석을 위해 UNWTO 권고안에 따라 MICE산업의 간접 및 유발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투입-산출분석모형(Input-Output Modeling)’ 을 이용하였다.
영국의 MICE산업 경제효과 분석결과, 2011년 기준 총 130만 건의 MICE행사가 개최되었으며, 총  참가자수는 1억 1,610만 명, 직접지출효과는 597억 파운드(한화 105조 9,294억원)로 나타났다. 2011년 영국 MICE산업의 총 GDP기여효과는 584억 파운드 (103조 7,807억원)였는데, 이 중 직접기여효과가 225억 파운드(한화 40조 345억원), 간접 및 추정효과가 359억 파운드(한화 63 조 7,462억원)였다. 본 지 편집진이 영국 MICE산업의 총 GDP기여효과를 영국의 총 GDP로 나누어 산출한 2011년 영국 MICE 산업의 GDP기여도는 3.83%였다. 한편, MICE행사 개최로 인해 창출된 고용유발효과는 직접효과가 42만 명, 간접효과가 59만 명으로, 총 102만 명 수준이었다.

11

3) 캐나다 MICE산업의 경제효과 및 국가경제기여도

12

캐나다는 2014년 4월, 캐나다 MPI 재단의 주관 하에 『캐나다 MICE산업의 경제적 효과(The Economic Contribution of Business Events in Canada)』  3차 연구보고서를 공개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2006년과 2008년에 수행한 바 있는 CEIS 1.0과 2.0 수행체계에 기초하되, UNWTO의 세부 가이드라인을 보다 충실하게 수용하여 MICE산업의 경제적 기여도를 분석한 중요한 연구로 의의를 갖게 되었다.
캐나다는 UNWTO의 권고에 따라, 캐나다 관광위성계정(Canadian Tourism Satellite Account, CTSA)과 MICE 분야만의 확 장활동 측정체계 정립을 통해 MICE산업 활동의 전체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국가관광지표(NTI)를 활용하여 해당산업의 경제적 활동으로 인해 창출된 고용, GDP 기여도, 근로소득 등의 계량적 결과를 직접, 간접, 유발효과의 측면에서 산출하였다. 캐나다의 MICE산업 경제효과 분석결과, 2012년 기준 총 59만 건의 MICE행사가 개최되었으며, 총 참가자수는 3,530만 명, MICE행사 개최로 인한 직접지출효과는 291억 달러(한화 32조 7,913억원)로 나타났다. 2012년 캐나다 MICE산업의 총 GDP 기 여효과는 275억 달러(한화 30조 9,884억원)로 나타났는데, 직접기여효과가 125억 달러(한화 14조 856억원), 간접기여효과가 150억 달러(한화 16조 9,027억원)였다. 본 지 편집진이 캐나다 MICE산업의 총 GDP기여효과를 캐나다의 총 GDP로 나누어 산 출한 2012년 캐나다 MICE산업의 GDP기여도는 1.51%였다. 한편, 캐나다 MICE산업의 고용유발효과는 직접효과 20만 명, 간접 효과 14만 명 등 총 34만 명 수준이었다.

13

<다음내용>

https://www.miceinsight.co.kr/archives/8066

복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