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onventions & MeetingsExhibitionsStatistics

MICE 종사자의 직무체계 및 직무역량 심층분석

By 2012/01/012월 2nd, 2018No Comments
로그인을 해주세요.

MICE 시장 수요의 다변화 및 사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회의 및 전시기획자와 같은 MICE산업 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요구되는 직무 범위 및 역량도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일정수준의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능력과 행정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이 요구되던 것에 반해, 최근에는 상품개발 및 마케팅능력, 위기관리 능력, 프로젝트 관리 및 사업전략 수립능력 등 보다 전문적인 비즈니스 지식과 직무능력이 필수역량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2회에 걸쳐 해외 MICE 전문인력의 근무환경 및 업무역량 변화에 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다루기로 기획하고, 지난 4호에서 해외 MICE 인력의 근무환경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이번 호에서는 MICE산업 종사자의 직무체계 및 직무역량을 심층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MICE산업 종사자들이 집중하고 준비해야 할 직무범위 및 역량에 대한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순서]
1. MICE산업의 직무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2. MICE산업의 직무범위 및 분류체계
3. MICE산업의 직무역량 분석

1. MICE산업의 직무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미팅, 컨벤션 등 회의개최수요가 지속적으로 증대함에 따라 동 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이 양적·질적으로성장해가고 있다. 이미 미국과 유럽 주요 선진국에서는 회의전시산업이 독립적인 산업분류코드를 가지고 있어 하나의 산업으로분류되는 체계를 갖추고 있고, 미국 컨벤션산업위원회(CIC, Convention Industry Council)에서 최근 발표한 연구조사결과에 따르면, 미국회의산업(Meetings Industry)의 고용창출로 인한 국가경제 기여도는 2010년 기준 165만 명으로 미국 내 전 산업분야에서 4위 수준으로나타났다.

이와 같이 회의산업분야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회의산업분야의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회의산업과 관련된 국제기관 및 국가별 유관기관에서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전문화된 인력을 배양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참고] 미국 회의산업 주요 전망

>>> 주요 전망 포인트
● 다양한 분야의 교육 및 근무배경을 가진 인력들이 회의기획가로서 종사하고 있음.
● 기획가들은 미팅ㆍ컨벤션의 개최현장에서 뿐만아니라 사전단계에서의 근무시간도 긴편이며, 출장으로 인한 연장근무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음.
● 동 분야의 일자리는 모든 직업군에 대한 평균 성장률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직업 기회는 대학학위 수여자 및 회의기획자로서 경험이 있는 인재들에게 적절한 수준임.

■ 전문역량 강화

미국에서는 회의기획부문의 전문적 직무역량을 인증하는 자격증 과정으로 민간기관(협회)이 발급하는 자격증이 유효하게 통용되고 있다.
회의산업위원회(CIC)는 미팅컨벤션기획자들을 대상으로 회의기획전문자격(Certified Meeting Professional, CMP)에 부합하는 조건및 (민간)자격증을 제공한다. CMP가 회의기획전문가로서 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격증은 아니지만, 동 산업분야에서인지도가 상당히 높고 직무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지원 자격조건은,
□ 회의경영분야에서의 최소 근무경력 3년
□ 회의경영분야에서의 정규직 형태 근무 역량
□ 성공적으로 개최 완료된 행사의 책임자 근무경력 입증
등으로 상기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이 요구된다.

1) 미국 NAICS, 유럽 NACE, 유엔 국제표준산업분류코드 UN ISIC 등
2) Convention Industry Council(2011),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Meetings to the U.S. Economy
3) 1위 의료·사회복지(1,624만명), 2위 식음료점업(946만명), 3위 숙박업(176만명) 등에 이어 4위로 나타남.

자격조건에 부합하는 자들은 시험에 통과해야하는데, 시험에서 평가하는 내용의 주제는 성인교육(adult learning), 재무관리, 시설및 서비스, 화물·수송, 회의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정부회의기획자협회(The Society of Government Meeting Professionals, SGMP)는 정부회의기획전문자격(Certified GovernmentMeeting Professional, GMP)를 제공한다. 동 자격증은 정부회의기획자로서 근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은 아니지만,정부회의 기획업무에 요구되는 특정 이슈(예: 여행 및 지원에 대한 정책, 규율, 지침 등)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개인 및기관들 사이에서는 매우 유용하게 통용되고 있다.

응시 자격조건으로 SGMP 회원활동 최소 1년이 요구되는데, 협회회원으로가입하기 위해서는 연방정부, 주정부 또는 지역정부 소속이거나, 정부와의 계약체결에 따라 일하는 기업 소속의 회의기획자로서근무하고 있어야 한다. 자격증은 3일간의 교육과정에 참가하고 시험에 통과하는 회원에게 수여된다.회의기획자들은 다양한 경험과 함께 독립적인 회의 컨설턴트가 되거나, 협회의 부서장이나 책임관리자로 성장하며, 직접회의기획업체를 운영하기도 한다.

■ 임금수준 및 고용현황

미국 회의기획자의 임금수준은 평균 $44,26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중간치 적용, 2008년 5월 조사 기준). 중간 50%의 임금수준은$34,480 – $57,820이며, 하위 10% 임금수준은 $27,450, 상위 10%는 $74,610이다. 미국 회의기획자가 고용된 산업분야별로임금수준을 비교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료원: 미국직업전망백서주) 2010-11(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
주) 직업전망백서는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sBureau of Labor Statistics)이 2년 주기로 발간하며, 200여개의 산업 분야와 500여개 직업에대한 향후 10년간의 전망 및 다음 내용을 제시함.
□ 요구되는 훈련·교육(the training and education needed)
□ 임금수준(earnings)
□ 직업전망(expected job prospects)
□ 주요직무내용(what workers do on the job)
□ 근무환경(working conditions)

회의기획업, “직업(occupation)” or “전문직(profession)” ?

아메리칸 칼리지 사전(The American College Dictionary)에 따르면 “직업(occupation)”이란 적성, 전공에 따라 수행하는 업무 또는 거래를의미하며, “전문직(profession)”이란 직업 중에서도 특별한 지식과 훈련을 요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일부 학자들은 전문직의 본질적특성이란 해당 분야에서 실전·실무 경험이 없어도 해당분야 직업군에 관한 특별한 지식과 통찰력을 갖춘다는 것을 의미하며,아마추어(amateurs)와 다르게 경제적 견지에서 실전실무를 통제·관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규정한다(Freidson,1986). 전문직 업무는 해당분야의 전문지식 및 합리적 견해에 대한 형식화된 체계와 직접적으로 연계된다(Abbott, 1988)는 견해도 있다.

직업의 해당 직군 및 직무범위는 노동부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상호 독립적인 분야로 세분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회의산업분야에서는회의유형별 범주에서 고객이 누구인가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미국 직업명 및 코드분류 디렉토리(The National Directory of Occupational Titles and Codes)는 회의경영(meeting management)을 공식적인전문직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미 노동부(U.S. Department of Labor)는 미팅회의기획자(Meeting and Convention Planners)에 대한표준직업분류코드를 “13-1121″로 규정하고, 주요 직무를 그룹회의 및 컨벤션을 기획 및 준비하기 위해 회의참가자 및 종사자의 활동을경영·관리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전문직으로서 회의산업분야의 위상은 아직 “진행중”인 상황이다. 지식체계(이론, 기술, 표준실전지침서, 모범/실패사례, 직업윤리 등)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고, 교육, 훈련, 민간자격증, 전문역량강화프로그램, 비전문가들과의 차별적 역량 등 전문직으로서 갖추어야 할구성요소 및 이에 기초한 표준화된 체계 역시 보완해야할 부문들로 남아 있다(그림2 참고).

예를 들어, 회의산업분야의 민간자격증 프로그램들은 상기모델의 구성요소나 절차 중 일부를 반영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관점에서는다양한 구성요인들이 결여되어 있고, 특히 강제규율성이 있는 통제 및 책임성 부문은 미흡하다.

자격요건에 대한 규정사항(학업, 자격증, 허가증)도 명확하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장이 요구하는 것은 결국 몇 가지 형식적인것들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내부규정(Internal regulation), 외부평가(external validation) 및 외부규정(external regulation) 등의중요성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질적수준을 갖춘 표준체계, 순응성 평가를 위한 우수사례 등으로서의 의미가 증가하고 있음을 기초로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2. MICE산업의 직무범위 및 분류체계 전문직으로서의 직무범위

이벤트경영(Event management)은 다양한 차원의 행사경영 개념을 아우르고 있다. 따라서 동 분야의 경영이란 개념은 여러 범주로세분할 수 있겠으나, 일반적인 경영관점에서는 특정시간에, 특정장소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람들을 소집하는 행사(events)를 기획및 제작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전문직으로서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이벤트경영(Event Management)이란,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하고,제작하는 전 과정을 의미하며 일반 “경영”분야의 활동과 함께 진단·평가, 정의, 인수·합병, 분배·할당, 방향, 통제, 시간분석, 재무,인재, 상품, 서비스, 기타 목표달성을 위한 자원 등의 항목을 포괄한다. 관리자의 직업은 행사의 모든 부문을 감독하고 기획하기 위한연구조사, 기획, 조직, 실행, 통제 및 행사에 대한 기획·설계, 활동, 제작 부문을 평가하는 업무를 포함한다.

회의산업의 기본 직무범위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주최자와 수요자, 제공되는 콘텐츠 등은 다르게 나타나겠지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업무스킬이나 재화용역서비스는 동일한 패턴으로 돌아간다. 미팅회의산업(Meetings & Conventions)의 경우, 다음 그림에 나타난 업종과 연계하여 기본적으로요구되는 직무가 다양하다(그림 수직기둥 부문).

[참고] 일반 기업의 직무역량 구조

기본적으로 기업의 가치창출을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의 직무역량구조는 공통기본 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 업종별 역량 등 4개로구분하며, 이에 따른 구성요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 참고: 한국표준협회(2011)

업무프로세스(Processes)

주요 업무는 진단·평가(Assessment), 선별·선택(Selection), 모니터링(Monitoring),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문서화(Documentation) 등의 업무를 포함하며, 행사의 본질과 리스크관리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회의산업분야의 리스크 관리는 환경의급작스러운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이슈들이 지속적으로 다변화되고 영향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예측전망, 사전계획등의 사전적, 주기적인 실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진단·평가(Assessment)는 확인(identification), 분석(analysis) 등 두개 단계로 정의된다. 확인은 각 클래스 또는 카테고리의 모든 요소로간주되는 것들에 대한 발견과 정의의 과정이다. 분석 과정은 예측 기능을 강화하고 요소 또는 확인된 위험의 특성을 양적·질적으로평가함으로써 적절한 우선권 산정을 돕는 기능을 한다,

선택(Selection)은 목표나 목적을 달성하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방법과 전술을 선택하는 의사 결정 포인트다. 이 같은결정은 자원의 할당, 책임, 그리고 선택한 전술을 수행할 권한과 함께 주어진다. 위험 관리의 전형적인 전술은 회피, 감소, 전이, 절연및 유지를 포함한다.

모니터링(Monitoring)은 선택된 전술의 진행, 상태, 또는 조건에 대한 사전 계획에 따른 추적을 포함하며, 여기서의 전술은 리스크컨트롤 액션 수행, 진단평가 및 선택과정에서 구류됨으로써 필요해진 추가 옵션 및 활동내용 개발 등을 포함한다.

문서(Documentation)는 기록, 보고, 관리 및 평가보관, 분석, 대응 계획, 모니터링 및 제어 결과, 기타 기록 및 문서를 포함하고, 중요한데이터와 강력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선도하는 중요한 증거자료를 제공한다.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적시에 정보를 수집 및 배포하고, 의사결정 시 적절한 상담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시스템의 중요한구성 요소다. 커뮤니케이션업무 단계에서는 전체적인 평가(assessment)를 달성하고, 의사결정에 대한 수용 및 지원을 촉진하기 위한적절한 요인들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행단계(The Phases)

진행단계는 이벤트 프로젝트의 시간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벤트경영관리의 순차적 본질을 보여주는 과정이다. 이 부문은 착수(Initiation), 계획(Planning), 이행(Implementation), 이벤트(The Event) 및 종결(Closure)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용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일반적인 프로젝트 진행단계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효과적인위험 관리는 이벤트 프로젝트 초기부터 완료시까지 전 과정에 걸쳐 각 시점에서의 연계상태에 의존한다.

착수(Initiation)는 연구조사가 실시되고 개념이 정의 및 검증되는 단계이다. 우선 범위와 내용이 정해지고나면 목표와 목적을 설정하고,투입자원을 결정한다. 리스크 관리의 투입이 정비되어야하는 것도 이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일이다.

계획(Planning)은 이벤트 프로젝트에 대한 요구사항 및 특수사양이 결정되는 단계로, 발생하게 될 활동내용, 준비해야할 노력요인,필요한 자원, 조건 또는 결정으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가정사항 등을 명확하게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행(Implementation)은 모든 상품과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코디네이션을 완료하고 나면, 이벤트 프로젝트의 모든 운영 및 물류적요구 사항을 동기화하는 구현 단계다. 이 단계에서 요구되는 리스크 관리 기법은 적절한 확인 사항을 명확히 하고 통제(control) 활동을동반하는 것이다.

이벤트(The event)는 실행(implementation)과는 분리되는 핵심점으로, 이벤트가 진행되는 순간부터 차별적이고 역동적인 접근양상을필요로 한다. 상기 단계들이 이벤트의 진행여부(go/no-go)에 대한 가능성을 판가름 짓는 요인들이라면, 이벤트가 시작됨과 동시에“no-go”의 가능성은 사라지게 된다(특정 요소나 활동의 취소는 이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봄). 이 단계에서의 리스크관리는 위험이나사건이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대응되도록 지속적으로 리스크요인들을 모니터링 및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결(Closure)은 이벤트 진행이 종료 및 해체되면서 계약적인 의무가 완료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피드백의 수집과 행동, 활동,의사결정에 대한 리뷰를 포함하며, 관련 정보는 투자대비효과(Return on Investment)에 대한 평가 또는 체계화된 평가기준에 따른수행업무 평가(performance critiques), 경제, 환경, 사회, 문화 등에 대한 효과 분석, 다음에 개최할 이벤트 프로젝트를 위해 전달해야하는 관련 지식 및 체득한 교훈 기록 등이 주를 이룬다.

관련 업무영역(Domains)

관련 업무영역은 사업단이나 사업부의 조직적 구조를 정의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각 부서별 책임의 범주는 이벤트 구성요소와의무, 프로젝트 규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리(Administration), 디자인(Design), 마케팅(Marketing), 운영(Operation),리스크관리(Risk) 등 5대 영역으로 구분한다(그림 참고).

3. MICE산업의 직무역량 분석

5대 핵심가치는 창의성, 전략적사고, 지속적인 개선, 윤리성, 통합성

핵심가치(core value)는 성공적이고 지속 가능한 결과를 촉진하기 위한 모든 의사결정을 확신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모든 구성요소,단계 및 프로세스에 관하여 각각의 결정에 적용되어야 하는 원리들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같은 기초 가치와 관련한 모든리스크관리 요인을 결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동 분야에서 집중해야 할 핵심역량은 창의성(Creativity), 전략적사고(StrategicThinking), 지속적인 개선(Continuous Improvement), 윤리성(Ethics), 통합성(Integration) 등 5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창의성(Creativity)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솔루션과 이벤트 프로젝트 관리 전 부문에 걸쳐 나타나는 도전과 기회에 접근하기 위해반드시 필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특히 동 분야에서는 창의성, 영감, 예술성, 자력 등의 자질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략적사고(Strategic Thinking)는 개별적인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방법을 개념화하여 중심을 잡는 능력이다. 따라서 기업의 장·단기적 목표와 목적 등 전체적 테두리 내에서 계획과 전술에 고려되어야 하는 거시적 이슈, 영향요인들에 대해 집중하는 것이필요하다.

지속적인 개선(Continuous Improvement)은 역량 성숙도 모델(Capability Maturity Model)이 구현되는 총체적 품질 철학(Total Qualityphilosophy)이다. 이 요인은 최적의 수행 조직이 반응 중심의 계획(reaction-driven planning)에 의존하는 것보다 모든 절차, 시스템,그리고 이에 따라 추정 가능해진 결과 등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능동적으로 개선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윤리성(Ethics)은 옳고 그름에 대한 신념을 반영하고 정립된 판단과 선택, 행동 등을 포괄한다. 윤리성은 이벤트산업뿐 아니라 타연관산업의 행동양식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준들은 완전성, 공정성 및 품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의사결정, 협상 및 활동 등을가이드 한다.

통합성(Integration)은 조정, 동기화, 다양성 및 반응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융합, 의존성, 선택에 영향을 주거나 받게 되는 모든 요인들을통합하는 의사결정에 대한 확신을 위해 이벤트 프로젝트에 포함된 상호연계 요인 등을 반영한다.

5대 전문 직무군은 관리, 디자인, 마케팅, 운영, 리스크관리

지식도메인을 구성하는 항목은 각각의 해당 분야에 대한 활동을 나타내고, 하나의 조직적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각 분야에서심층적으로 필요로 하는 세부항목들을 대표한다. 이 같은 구조는 이벤트 자체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리스크를 철저하게 관리하고규율화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 개발 및 문서화 업무를 촉진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진단 가능한 성숙하고 최적화된 기관, 예측력 개선 및효과적인 지식전달 체계를 갖춘 기관으로서 요구되는 형식화, 표준화 및 예측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는 데도 필요하다. 하지만 이 모든요소가 효과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각 부문의 책임범위가 명확하게 제시되고 이를 총체적으로 담당하는 이벤트 주최자/기획자의리스크관리가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① 관리(Administration)
관리 도메인은 적절한 배분, 방향 및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자원 관리 등을 주로 다룬다. 자원은 정의에 의해 한정되기 때문에 개발,인수를 비롯하여 프로젝트의 이익 창출을 위해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활용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반드시필요하다. 세부직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② 디자인(Design)
디자인업무는 프로젝트의 목표와 목적을 예술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하며, 체험적 차원으로 접근하는 데 초점을 둔다. 각 직무기능에따라 다르게 개발된 요소들은 전체적인 행사의 즐길거리와 경험거리 등 체험을 제작하기 위해 결합되는데, 이 전 과정은 “디자인”의본질적 속성이 그렇듯 다소 위험적(risky) 요인들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부직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③ 마케팅(Marketing)
마케팅은 비즈니스 개발을 촉진하는 의미 외에, 경제 및 정치적 지원의 신장효과, 이벤트 프로젝트의 이미지와 가치를 형성하는 기능을갖는다. 특히 이벤트의 본질적 속성에 따라 현장에서의 “체험”이라는 무형적상품을 마케팅하기 위해서는 바이어-셀러 간의 독특한관계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가장 핵심적인 직무는 마케팅기획관리(Marketing Plan Management)로 이 업무는 총괄적인 마케팅 전략 및 전술의 개발 및 관리감독을필요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타깃 고객에 대한 정의, 인수합병 및 보류, 내외부적 메시지 및 매체 개발, 이벤트 프로젝트 및 주최기관의마케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우수고객 및 초청고객과의 관계 유지 등의 업무를 다룬다. 그 외 세부 직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④ 운영(Operations)
운영업무는 이벤트 프로젝트를 제작하기 위해 현장에 동반되는 사람, 상품, 서비스 등의 업무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그리고 각 요소에대한 역할 및 책임 분담, 지원 및 조정 등의 업무를 포함한다. 운영업무가 논리적, 기능적으로 프로젝트를 위한 요구사항 및기대요인들의 조화(또는 불협화음)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완벽한 코디네이션이 동반되는 것이 필요하다. 운영 부문의세부직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⑤ 리스크관리(Risk)
리스크는 이벤트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기업의 관점에서 감지가 가능한 의무사항, 기회요인, 법률적 책임 등의내용을 다룬다. 이 같은 업무분야는 모든 의사결정사항과 활동내용과 불가분하게 얽혀있으며, 행사규율관리자로부터 행사 참가수요자에 이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의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리스크관리부문의 세부직무 내용은다음과 같다.

특히 리스크관리 전술, 도구, 기술 등은 자산 및 손실, 피해, 사망 또는 파괴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고, 혼란, 불명예 등의 사고를 피하기위해 필요하며, 이벤트 프로젝트 제작 초기에서부터 전 과정에 걸쳐서 철저하고 주의 깊게 전개되어야 한다. 이것은 대단하고 위협적인책임일 수 있겠으나, 체계적으로 위험요인들을 식별, 분석, 대응, 통제 및 평가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이 압도적인 의무는 곧관리가능하고 본능적으로 감지 가능한 업무가 될 것이다.

리스크관리는 적절한 리스크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촉진할 것이다.리스크관리계획은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절차들을 사전에 명확하게 규명하도록 하고, 실행을 위한 자원들과 책임자를 지정한다. 이것은의식적인 준비와 사전적 고려를 바탕으로 위험을 줄이기 위한 활동과 리스크에 유연하게 대처(리스크 인지, 보상 및 자금지원 준비)할 수 있는 조직역량 창출 등 바로 적용 가능한 두 가지 활동을 필요로 한다.

 

복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