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관광·MICE산업은 희망을 엿본 한 해를 보냈다. 완화된 방역수칙 아래 국내 이동이 비교적 용이해진데다가 상반기 주요국의 국경재개를 시작으로 비즈니스 목적의 국외 이동도 일부 가능하게 되었다, 대면 활동의 심리적 부담도 지 난해에 비해 다소 줄어들면서 MICE 행사를 찾는 기업과 참관객 수가 늘어나고 있다. 덕분에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전시회도 2019년 수준으로 얼추 회복된 듯하다. 회의부문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국적의 참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대규모 국제 컨벤션은 제약이 따르는 상황이지만, 중소형 국제회의 또는 국내 학회, 기업회의 부문은 하이브리드 행사라는 ‘뉴노멀’을 받아들이며 활기를 더해가는 추세다. 물론, 코로나19 여파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경제위기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슈 등은 또 다른 회복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업계의 긴장이 늦춰질 새가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만연한 상황 속에서 새로운 트렌드도 감지되고 있다. 팬데믹이 소비자의 행동과 의사결정 방식을 대거 바꾸어놓은 만큼, 관광·MICE산업에 대한 고객(참가자 또는 관광객)의 수요도 크게 달라지고 있다. 즉,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과 역량이 요구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글로벌 관광·MICE 전문 매체 스키프트(SKIFT)와 전 세계 산업 현황과 전망에 관한 지표를 다루는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Economist Intelligence, 이하 EIU)의 2022년 관광·MICE산업 동향 보고서를 통해 올 한 해를 되돌아보고 그간의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서 다가올 미래를 준비해보고자 한다.
미국 교통보안청, “2022년 여행객 수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95% 회복”
일찌감치 이동 제한을 풀었던 미국은 2019년 수준으로 여행객 수를 회복했다. 스키프트가 공개한 ‘2022년 관광산업동향 보고서(State of Travel 2022)’에 따르면, 200만 명 중반대에 이르던 2019년 여행객 수가 팬데믹 이후 급감한 후 지난해 3월(백신 접종 시작)부터 본격적으로 회복세를 타기 시작했다. 이후 지난해 하반기까지 팬데믹 이전수준까지 여행객 수가 치솟다가 이후 올해 초 글로벌 국경재개가 맞물리면서 지난 9월부터는 완전한 회복에 가까운 성적을 기록했다.
글로벌 관광산업 동향지표도 비슷한 실적을 보였다. 스키프트가 22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관광동향지표(Travel Health Index)’에 따르면, 2019년 대비 20% 수준으로 떨어졌던 업황이 올해 초 59%를 시작으로 지난 5월부터 80%대 회복률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가정집과 같은 안락함을 앞세우고 있는 공유숙박(Vacation rental) 부문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벌써 팬데믹 이전수준을 웃돌며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호텔의 수요 회복은 다소 더딘 실정이다. 아울러, 항공 부문도 아직 국외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인데다가 친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회복이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에 대해 스키프트 연구진은 “항공부문은 저조한 수요 회복과 공급망 교란으로 인한 물류 수요의 불확실성, 인력난 등으로 인해 4대 관광부문 중 가장 회복이 더딘 분야”라면서도 “올해 국경재개를 기점으로 이전과는 다른 수준의 수요 회복도 발생하고 있어 내년도 실적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관광은 언제쯤 회복될까?…“2025년 회복 예상, 관건은 중국시장”
실질적 국가 간 이동의 회복은 앞으로 3년 더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다. 스키프트는 미국의 국내외 여행객 지출비 현황에 비추어, “국내 관광은 내년도부터 팬데믹 이전 수준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되나, 국외 관광의 지출비는 2025년에 이르러야 2019년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스키프트는 국제관광의 실질적 회복은 중국에 달려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이들의 조사에 의하면 2019년도 글로벌 아웃바운드 관광 수요를 압도적인 수준으로 창출했던 국가가 바로 중국이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의 아웃바운드 관광 수요는 여전히 2020년 팬데믹 초기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인바운드 관광객은 사실상 2020년 하반기부터 전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한 양상을 보였으나, 국외로 이동하는 관광객의 수는 3년이 지난 현시점에도 그래프에 큰 변동이 없는 실정이다.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에서 수행한 중국인 관광객 관련 수요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도 중국권에 인접한 국가들의 완전한 회복은 2025년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중국과 인접 국가인 홍콩과 마카오는 이동에 관한 부담이 적어 벌써 2019년 대비 70% 이상의 중국인 관광객들이 방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그 외 국가(캄보디아, 일본, 우리나라 등)들은 아직 회복률이 50%도 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커버스토리 기사 콘텐츠는
별도 구매 후 이용 가능합니다.